본문 바로가기
개발/aws

AWS RDS

by codeStudyCafe 2025. 1. 3.

웹페이지를 개발하다 보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aws에서도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해 주는데요, 그게 바로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입니다.

RDS란

DBMS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저희는 DBM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만지는 것이죠. 이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것이 RDBMS입니다. 이런 RDBMS를 조금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AWS의 RDS입니다.

프리티어 적용에 제한이 있어 돈을 내야할 수 있습니다.

RDS 만들기

aws에서 RDS를 검색해 들어갑니다.

 

좌측의 서브넷을 먼저 세팅해 줍니다. 어떤 네트워크에 만들 것인지를 정해줍니다. 먼저 서브넷 그룹으로 들어갑니다.

 

서브넷 그룹 생성 버튼을 누르고 이름과 서브넷을 설정해 줍니다. 저는 기본 VPC에 만들어 주었습니다. 가용 영역은 2개 이상이여야 합니다.

 

완료를 하면 이런 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좌측의 데이터베이스를 누르고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누릅니다.

 

mysql을 사용할 것이므로 MySQL를 클릭합니다.

 

템플릿은 개발/테스트, 배포 옵션은 단일 DB 인스턴스를 누릅니다.

 

식별자는 원하는 대로 설정하고 이름은 root, 암호는 원하는 대로 설정해 줍니다.

 

인스턴트는 버스터블 클래스를 선택합니다.

 

VPC를 이전에 설정해 준 값으로 맞춰줍니다. 아래쪽 퍼블릭 엑세스는 '예'로 합니다.

 

방화벽은 새로 만들어도 되고 기존의 것을 써도 됩니다. 저는 우선은 전부 열어두겠습니다.

 

나머지는 건들지 않겠습니다. 이렇게 해도 돈이 나가거든요. 이대로 만들어 줍니다.

 

이대로 생성을 하면 db를 볼 수 있습니다.

 

workbench 연결

생성된 rds를 보면 엔드포인트가 있습니다. 이곳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workbench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hostname에 엔드포인트를 연결해 줍니다.

 

오른쪽 아래 test connection을 누르면 연결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비밀번호를 넣어줍니다.

 

이런 식으로 나오면 연결이 된 것입니다.

'개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LB  (0) 2025.01.10
AWS ACM  (0) 2025.01.06
AWS ROUTE53  (0) 2024.12.27
AWS EC2를 vscode에 연결  (0) 2024.12.23
AWS EC2  (1) 2024.12.20